[스포츠투데이 이서은 기자] 국내 골프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최대 수혜자라 불린다. 코로나19 이후 골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골프장의 평균 영업이익률도 함께 치솟았기 때문이다.
특히 대중 골프장의 영업이익률이 크게 올랐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의 '2022 레저백서'에 따르면, 2021년 대중 골프장 349개의 영업이익률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48.6%로 코로나19 이전인 2년 전보다 15.4%가 올랐다.
이러한 가파른 상승률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눈에 띄게 오른 이용료다. 올해 5월 기준으로 국내 대중 골프장의 평균 그린피는 주중 17만3500 원, 주말 22만1100 원으로 2년 전보다 각각 29.3%, 22%나 상승했다.
시장경제의 논리에 따른다면, 수요가 많으나 공급이 적을 경우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지사다. 하지만 골프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1999년부터 각종 세제 혜택을 누리게 된 대중 골프장이 이러한 폭리를 취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대중 골프장이 개별소비세를 부과 받지 않고 회원제 골프장보다 낮은 재산세를 부과 받는 등 여러 혜택의 수혜자이기 때문이다.
점차 소비자 불만이 가중되자 결국 정부가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1월 골프장 분류 체계와 세제 개편을 담은 '골프장 이용 합리화 및 골프 산업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에 회원제와 대중 골프장으로 분류하던 것을 회원제와 비회원제 골프장으로 재분류하고, 이용료 등 요건을 충족하는 골프장에 한해 대중형 골프장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해당 법은 국회 의결을 거친 뒤 5월 공포됐고, 다음달인 11월 4일부터 시행된다.
하지만 골프업계의 전망은 밝지 않다. 현재 그린피가 문체부가 정한 기준 금액을 훨씬 상회하는 골프장들의 경우 대중제의 혜택을 포기하고, 비회원제에 부과되는 세금을 얹어 이용료로 부과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관측이다.
실제로 지난 7월 한국대중골프장협회는 그린피 인하 캠페인을 전개했으나, 골프장 분류체계 개편 정책에 대해서는 규제 강화로 규정하며 이미 반대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그린피로만 구분 지을 경우, 부가적인 요금을 인상하는 방식으로 정부 규제를 피하는 편법이 성행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다음달로 다가오는 법안의 실질적인 조치가 지지부진하다는 우려도 있다. 지난 5일 국정감사에서는 문체부의 조치가 법령 제·개정 단계에만 머무른 채 세제 합리화, 체육기금 융자 우대 등 요금 인하를 위한 구체적 조치는 협의 단계에 멈춰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여러 우려 속에서 법안 개정이 이용료 인하라는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골프가 다시 '그들만의 스포츠'가 되지 않으려면, 골프의 대중화를 위해 만들어진 대중제 골프장이 시장경제의 논리에서 벗어나 정부의 규제 움직임에 맞춰 나아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편법이나 당장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눈 속이기 대응이 아니라, 그간 불편을 겪었던 일반 이용객들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져야 할 시점이다.
[스포츠투데이 이서은 기자 sports@st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