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투데이 임시령 기자] 상품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맛이 없을까. 겉보다 속이 더 가치 있고, 맛도 좋은 '파과'다. 진입장벽만 넘는다면 진짜를 발견할 수 있을 작품이다.
30일 개봉된 '파과'(감독 민규동·제작 수필름)는 바퀴벌레 같은 인간들을 처리하는 조직에서 40여 년간 활동한 레전드 킬러 조각(이혜영)과 평생 그를 쫓은 미스터리한 킬러 투우(김성철)의 강렬한 대결을 그린 액션 드라마다.
영화는 조각이 집 없이 떠돌다 거리에 쓰러지는 모습으로 시작된다. 우연히 조각을 발견한 류(김무열)는 집으로 데려가 숙식을 제공한다.
류는 어느 날 조각에게서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를 신성방역 킬러로 키워낸다. 조각은 그런 류를 스승처럼 따르고 의지한다. 그렇게 40여년간 벌레들을 제거해 온 조각은 전설의 킬러, 대모님으로 불리게 된다.
하지만 세월의 변화는 조각을 '60대 늙은이', '한물간 퇴물' 취급을 받게 했다. 그러던 중 젊고 과감한 투우가 신성방역의 떠오르는 에이스로 합류한다. 투우는 조각의 동선을 모두 따라다니며 감시하고, 조각은 그런 투우가 성가시기 시작한다.
조각을 향한 투우의 집착은 계속된다. 절대 실수가 없던 조각은 사건을 처리하던 중 자신을 구한 수의사 강선생(연우진)의 도움을 받게됐고, 목격자를 만들게 된다. 모든 것을 알고 있던 투우는 이를 빌미로 조각을 협박, 분노가 최고조에 이른다.
결국 조각은 강 선생과 그의 딸을 지켜내기 위해 투우와 최후의 싸움을 시작한다. 대결의 승자는 누가 될까.
'파과'의 외피는 60대 킬러와 젊은 킬러의 대결이지만, 그 안엔 복수, 집착, 애증, 연민 등의 감정들이 어지러이 섞여있다. 단순한 킬러 액션물이 아닌, 사람이 사람을 평생 동안 집착하고, 쫓아온 결과를 섬세하게 그려내는 이야기다. 수수께끼 같은 두 사람의 감정과 서사가 천천히 빌드업 돼 후반부에서 터진다. 중간중간 비워진 공백이 끝에서야 채워지기 때문에, 중후반까진 의문이 생길 수 밖에 없는 흐름이다. 취향에 따라 긴장감 혹은 지루함 사이에서 선을 탈 것.
이러한 가운데서도 중심을 묵직하게 채운 건 배우들이다. 특히 60대 조각을 연기한 이혜영은 등장부터 분위기를 압도한다. 몸짓 하나에서 전설의 킬러다운 카리스마와 절제미 있는 우아함까지 느껴진다. 맨몸 액션, 총과 비녀를 사용한 액션, 로프 액션뿐만 아니라 벽을 타고 구르고 넘어져도 스타일리시하다. 연륜이 느껴지는 눈빛과 연기력은 무언가를 더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도 빛이 난다. '파과'의 의미는 이혜영으로부터 시작되고 끝이 난다. 세월의 흐름을 속일 수는 없지만, 가치는 훼손되지 않는다.
투우 역의 김성철은 조각의 서사를 함께 달리며 템포를 맞춘다. 날렵하고 강렬한 액션 장면은 물론, 수수께끼 같은 감정을 오롯이 그려낸다. 후반부에 다다를 때까지 투우의 감정은 미스터리하다. 하지만 이유 있던 빌드업은 클라이맥스 장면에서 터져 가치를 증명한다. 조각을 향한 투우의 집착, 애증, 분노가 잔상을 남기는 이유다.
'파과'를 채우는 각 캐릭터 연기도 볼만하다. 류의 김무열, 강선생의 연우진, 어린 조각인 손톱의 신시아도 파과의 가치를 높인다. 러닝 타임 122분, 15세 이상 관람가.
◆ 기자의 한줄평: 이혜영의 재발견
[스포츠투데이 임시령 기자 ent@st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