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경수가 출연한 영화 '야당'(연출 황병국·제작 하이브미디어코프)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이강수(강하늘),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구관희(유해진),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 오상재(박해준)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엮이며 펼쳐지는 범죄 액션이다.
류경수는 극 중 유력 대권후보 조상택(홍서준)의 아들로 악행을 서슴지 않는 인물 조훈으로 분했다. 그는 "안하무인적인 캐릭터라고 1차원적으로는 느꼈는데 잘못하면 좀 봐왔던 스테레오 타입의 캐릭터로 표현될 여지가 많아서 조금 더 다르게 비틀어 보려고 고민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래서 감독님한테도 이런 식으로 표현해 봐도 되는지 여쭤봤는데 되게 열려 있으시더라. 좀 더 유아적 사고 방식을 가진 악동의 느낌으로 가면 어떨까 했다. 더 자유롭게 표현해 보고 뭔가 좀 날카롭고 무섭고 무게 있는 것보다는 좀 더 천진난만하게 행동했을 때 더 무서움을 자아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야당 류경수 / 사진=고스트 스튜디오
류경수는 극 중 마약에 취한 연기를 위해 다큐멘터리들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그동안 다큐를 보면서 감독님이 좀 준비를 많이 해두셨더라. 다큐에서 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그런 거겠구나 하고 연기로 표현했다"며 "실제 마약 중독자들이 자기가 어떻게 약을 하는지 영상이 나오는데 그 사람들이 하는 표정들이 있다. 투약하고 나서의 표정보다는 투약하고 나서 좀 가라앉았을 때 후유증, 말할 때 표정 쓰는 것들이 좀 리얼해서 보면서 놀란 것들이 있었다. 레퍼런스를 잘 찾았구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극 중 조훈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면모를 보이는데, 이에 대해 류경수는 "흐름대로 맞춰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삐쭉삐쭉 튀어나와버리면 영화 전체에서도 좀 다채롭지 않을까"라며 연기에 주안점을 둔 부분을 밝혔다.
접점이 많았던 유해진과의 호흡에 대해서는 "유해진 선배님은 의외의 게 튀어나와도 그걸 되게 스무스하게 감아서 또 의외의 것을 하신다. 완전 유연하신 스타일이라서 많이 배웠다"고 말했다.
배우 엄수진 역의 채원빈에 대해서는 "되게 진지한데 생각보다 나이가 어려서 지금도 가끔 좀 까먹는다. 생각도 깊은 것 같고 연구를 많이 해서 표현한 것 같다. 저도 엄수진의 연기를 다 본 게 아니지만 '이분이 연구를 많이 해서 엄수진을 그려내려고 했구나'란 게 잘 보였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엄수진도 불쌍하고 안타까운 역할이지 않나. 그래서 더 장난을 많이 치려고 했던 것 같다. 웃었으면 좋겠어서 농담도 했다. 그런데 결과 보니까 더 불쌍한 거다. 진짜로 이 캐릭터는 너무 안타까운 인생이었다"고 덧붙였다.

야당 류경수 / 사진=고스트 스튜디오
류경수는 극 중 검찰 출두할 때 차 문이 열리는 순간의 표정이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걸 내려야 되나 말아야 되나, 내가 이거를 왜 이러고 있어야 되나 하는 그런 게 묻어났던 것 같다. 그게 좀 재밌었던 장면"이라며 "반대로 아쉬웠던 건 항상 아쉬운 것 같은데 매일 촬영 끝나고 집에 가는 길에 '오늘 이렇게 했어야 되는데' 이랬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오케이'가 나왔을 때는 한번만 더 다르게 해보고 싶은 아쉬움이 남을 때가 있지만, 이번 촬영에서는 그렇게 많이 다시 가진 않았다고. 류경수는 "선배님이랑 할 때도 그렇게 많이 가진 않았던 것 같다. 처음에 튀어나온 것들이 조훈의 도발적이고 날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라고 말했다.
배우 강한나, 류덕환과는 같은 중앙대학교 출신으로 절친한 사이다. 두 사람의 이번 영화에 대한 반응은 어땠는지 묻자 "한나 누나는 시사회 때 와서 봤다. 되게 재밌다고 그랬다. 덕환이 형은 일이 있어서 못 왔다. 그래서 보면 얘기할 것 같다"고 전했다.
류경수는 '당근과 채찍' 중 자신의 스타일을 "당근을 먹으면 더 신나서 하게 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친구나 후배들이 조언을 구했을 때 조금 조심해서 얘기하는 편이다. 직언을 한 적도 있었는데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그리고 점점 못하게 되는 것 같다"며 "오히려 30세 넘어가면서 싫은 소리를 하면 표정도 안 좋아지는 것 같고 '오늘은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얘기만 하자, 웃으면서 하자' 뭔가 점점 그렇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야당 류경수 / 사진=고스트 스튜디오
이어 "시작 단계에서 쭉 끝까지 올 수 있었던 건 칭찬의 힘이 좀 컸던 것 같다. 어렸을 때 영화사에 갔는데 너무 긴장되고 솔직히 지금 하라고 그래도 못할 것 같다. 문 열었는데 사람들 다 쳐다보고 '어린 녀석이 연기를 한다고 그러냐. 그런데 너는 뭐가 돼도 되겠다'는 그 말이 아예 모르는 분인데 기억에 남았다"며 데뷔 전 자신의 경험담을 떠올렸다.
류경수는 "그래서 처음 시작하는 단계의 사람들한테는 칭찬을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왜냐하면 '야, 너 그거 안 돼', '네가 뭔 연기야' 소리를 너무 많이 들어서다. 그런 소소한 칭찬들이 버티게 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동안 영화 '인질',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 '지옥' 등에서 센 인물을 표현했던 류경수는 "큰 소리로만 얘기하는 사람은 점점 목소리가 커지는 것 같은데, 사실 잔잔한 것도 꽤 했다. 지금 찍고 있는 '미지의 서울'도 일상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그 캐릭터도 조금 별난 사람이긴 하다"라며 "제가 대학교 때부터 추구했던 연기는 완전 일상의 리얼리즘 연구를 많이 했던 편이었다. 저는 부름을 받는 직업이니까 불러주시는 거라도, 특히 요즘 같은 시기에는 더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많이 불러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류경수는 작품을 마치고 캐릭터를 빠져나오는데 어려움을 느끼진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작품이 끝나면 바로 한 1주, 2주 사이에 빨리 다른 촬영, 다른 연기를 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이다. 그냥 연기하는 게 재미있으니까. 현장 가는 것도 재밌다. 저는 '나는 반드시 저 사람이 돼야 해'라는 주의는 아니다"라며 "새로운 경험을 한다는 것 자체가 새로운 걸 알아가고 그 캐릭터를 뭔가 해보고 현장의 분위기도 좋고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나누는 대화들, 그 치열함이 재밌는 그런 쪽이다"라고 말했다.
[스포츠투데이 김태형 기자 ent@stoo.com]